대회이다 = 평가기준은 뭘까?
어떤 대회일까? 온라인 해커톤이다.
→ 문서화 철저
// 우성민 멘토링 메모
깃허브 이슈 : 소스에서의 문제 - 한정
나머지 문제들은 노션에서 논의 진행하면서 해결
매뉴얼
1. How to build
2. How to Use
3. Advanced - 생각에 대한 로그
오픈소스라고 함은
사용자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.
제작자의 입장에서, 즉 이타적으로 생각한다.
멘토님 말씀
1. IoT 분과 특수성
매뉴얼 - **필수 - 모든 걸 다 포함해서 / 전자쪽 설계도 및 빌드 파트**
오픈소스의 속성
콜라보레이션 채널
오픈소스를 사용하는 사람의 관점에서 생각해보자.
잘 만들어진, 잘 작동하는 소스
잘 정리된 개발 로그
일주일에 2번 이상 멘토링 해도 된다.
소스라이센스/카피라이트 필수
라이브러리로 파싱
사람의 걸음을 데이터로 사용하려면 GPS 외에도 다른 센서의 도움들도 필요하다.
GPS로 속도를 재려고 할 때 발생하는 문제이다.
자동차도 많이 튀는데, 도로에 맞춰서 보정이 되는 것
발로부터의 충격, 팔 왔다갔다
**자이로가속도계 → 걸음 측정**
트렌드
JS/CSS
Spring - JAVA
**필요한 정보만 보이는 곳이 리드미이다. 오픈소스는 특히나 더 그렇다**
마음대로 리드미 만들어도 상관없음 → 봤을 때 딱 필요한 정보만 작성
시스템 프로그래밍 - 아니다 / 인내력 - 수요에 비해 공급 없음
앱 현황 → 멘토님 조언 → 일정 현황 → 멘토님 조언
거리, 속도, .... 등 표시해주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 아닌가?
디테일 페이지 상의 지도 혹은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과연 효용성이 있는가? 다른 디테일 정보들을 얼마든지 보여줄 수 있음.